자가면역질환-그레이브스병
자가면역질환 그레이브스병(Graves’s disease)은 19세기 아일랜드 내과의로 알려진
로버트 제임스 그레이브스(Rovert James Graves)에 의해 명명되었습니다.
그레이브스병은 갑상선 기능 항진증이라고 명명되기도 합니다.
이 질환은 갑상선 자극 호르몬(TSH) 수용체를 자신의 면역체계가 비정상적으로 공격함으로써 발생합니다.
이로 인해 갑성선이 지나치게 활성화되고 과다한 갑상선 호르몬이 분비되어 다양한 생리학적 변화를 일으킵니다.

자가면역질환-그레이브스병의 증상
● 갑상선 과다 기능
그레이브스병은 갑상선이 과도하게 활성화되어 T3와 T4라고 불리는 갑상선 호르몬의 과도한 분비를 유발합니다.
이로 인해 대사율이 증가하고 신체에 다양한 기능이 과도하게 활성화 될 수 있습니다.
● 안구의 전방돌출
그레이브스병은 안구가 돌출 될 수 있는데, 이는 안구 근육이 비정상적으로 확장되어 눈을 밀어올려서 나타나게 됩니다.
● 갑상선결절과 갑상성 비대
갑상선이 비정상적으로 확장되어 결절이 형성될 수 있으며, 목이 전체적으로 비대해질 수 있습니다.
● 체중 감소와 근육 약화
과도한 대사율과 에너지 소비로 인해 환자는 체중 감소 및 근육 약화 증상을 겪을 수 있습니다.
● 피부 증상
일부 환자는 피부에 붉은 반점이나 가려움증 등의 피부 증상을 경험할 수 있습니다.
● 신경계 증상
과도한 갑성선호르몬은 중추신경계에 영향을 주어, 불안, 흥분, 손떨림 등의 신경계 증상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자가면역질환-그레이브스병의 진단
● 일반적 증상
의료 전문가는 환자의 증상과 진료내력을 평가합니다.
갑상선과 눈의 상태, 피부 증상 등을 확인합니다.
● 혈액검사
갑상선 호르몬인 T3와 T4의 수치, 그리고 갑상선 자극 호르몬(TSH)의 농도를 측정하여 갑상선의 기능을 확인합니다.
● 갑상선 초음파
갑상선의 크기와 형태를 확인하기 위해 초음파 검사가 수행될 수 있습니다.
● 라디오아이오딘 흡수 검사(RAIU)
갑상선이 얼마나 많은 아이오딘을 흡수하는지 측정하여 갑상선의 활동을 평가합니다.
● 안구의 전방돌출 평가
안가 전문가는 안질환과 관련된 증상을 평가하고 눈의 전방돌출 정도를 측정합니다.
● 핵의학 검사
갑상선 기능 및 활동을 평가하기 위해 방사선 물질을 사용하는
핵의학 검사가 수행될 수 있습니다.
그레이브스병은 만성적인 질환으로, 적절한 의료 지도를 받아야 합니다.
의료 전문가의 관리 속에서 주기적인 모니터링과 치료 계획이 수립되어야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