치매보험을 준비하고 싶은데…
어떻게 준비해야 되는지 몰라서 막막한 분들을 위해
치매보험 선택 요령을 알려드리고자 이 포스팅을 작성해봅니다.

치매보험은 여러 차례 변화되어오면서 구성 담보가 점점 다양해졌는데,
다양해진 만큼 담보 선택의 폭이 넓어졌지만!
한편으로는 치매보험 선택을 더욱더 헷갈리게 만드는 요인이 되고 있습니다.
간략하게 치매보험을 살펴보면,
담보는 크게 진단자금과 생활자금 두가지로 구성되어있다고 보면 됩니다.
이 진단자금과 생활자금의 보장하는 폭이 점점 넓어지는 형태로 변화되고있는데,
처음에는 치매”만”보장이 되었다가 최근에는 장기요양상태도 보장되게끔 폭이 넓어졌습니다.
1) 치매”만” 보장되는 치매보험
- 경도치매보장특약
- 중등도치매보장특약
- 중증치매진단특약
이 담보명들은 치매진단시 “치매 진단자금”을 주는 담보들입니다.
- 중증치매간병생활자금특약
진단자금 특약과 더불어
중증치매시 매월 생활비를 받는 특약이 포함되어있는 형태가
치매”만” 보장되는 치매보험입니다.
보장의 폭이 “치매”에만 한정되어있기 때문에 보험료가 비교적 저렴한 편입니다.
2) 치매를 포함한 “장기요양”상태일때도 보장되는 치매보험
치매 뿐만 아니라 알츠하이머, 뇌혈관질환, 파킨슨병, 중풍후유증 등의
질병을 포함하고있는 “장기요양”상태일때도 보장 받을 수 있게끔
치매보험의 보장폭이 넓어진 것이 최근의 치매보험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 경증이상장기요양진단비
- 중증이상장기요양진단비
위 두가지 담보가 경증 혹은 중증 장기요양상태일때 진단자금이 나오는 담보입니다.
- 장기요양재가급여특약
- 장기요양시설입소특약
재가급여특약과 시설입소특약은 보험금을 생활자금처럼 사용할 수 있는 특약입니다.
장기요양보호 등급을 받으면 재가급여나 시설급여를 이용할 수 있는데,
해당 서비스를 먼저 이용하고나서 보험회사에 후청구를 하는 개념의 담보입니다.
매달 생활자금을 지급해주었던 중증치매간병생활자금특약과는 달리
재가급여서비스를 이용하거나 시설입소를 해야만 지급받을 수 있는 담보입니다.
3) 장기요양생활자금특약
위에서 설명드린 장기요양재가급여특약과 장기요양시설입소특약은
서비스를 먼저 이용한 후, 보험회사에 후청구를 해야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는데요.
이 번거로움을 해소시킨 담보가 “장기요양생활자금특약”입니다.
장기요양상태로 판정을 받으면 가입금액만큼을 매월 지급받아 생활자금으로 사용할 수 있는 담보입니다.
중증치매간병생활자금특약과 지급방식은 동일한데, 보장하는 폭이 좀 더 넓어진 담보라고 할 수 있습니다.
4) 가입요령
최근에는 치매”만” 보장하는 치매보험을 가입하는 경우는 드물고,
장기요양상태일때 보장받는 치매보험을 주로 가입하는 추세입니다.
담보별 보험료는 아래와 같이 보장폭이 클수록 보험료도 비싸집니다.
치매진단비 < 장기요양진단비
치매생활자금특약 < 재가급여, 시설입소특약 < 장기요양생활자금특약
앞서서 치매보험이 진단자금과 생활자금으로 이루어진다고 설명드렸듯이
아래와같이 모든 담보를 구성해서 가입하는 형태가 있습니다.
- 경증이상장기요양진단비
- 중증이상장기요양진단비
- 장기요양재가급여특약, 장기요양생활자금특약
- 장기요양시설입소특약, 장기요양생활자금특약
보험료를 고려해서 재가급여, 시설입소특약 그리고 생활자금특약을
적절히 섞어서 가입할 수도 있습니다.
- 경증이상장기요양진단비
- 중증이상장기요양진단비
- 경증장기요양생활자금특약
- 중증시설입소특약
또는 진단비보다는 생활자금을 중점으로 두어서
재가급여특약, 시설입소특약 또는 장기요양생활자금만 가입하는 형태도 있습니다.
- 장기요양재가급여특약, 장기요양생활자금특약
- 장기요양시설입소특약, 장기요양생활자금특약
치매보험의 보험료는 상당히 높습니다
그 이유는 치매보험을 가입하고자하는 주요 연령층이 50대이상 분들이기 때문입니다.
모든 담보를 다 포함하여 설계받은 치매보험의
높은 보험료에 가입을 주저하고 계시다면
이 포스팅에서 알려드린 가입요령을 참고하여 다양한 설계안을 요청해보시길 바랍니다.